강아지 예방접종 종류와 시기 정리
강아지를 키우면서 가장 먼저 신경 써야 하는 것이 바로 예방접종입니다. 예방접종은 강아지를 치명적인 질병으로부터 지켜주는 가장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강아지의 면역력이 약한 시기에는 적절한 백신을 통해 건강을 보호해줘야 합니다. 오늘은 강아지 예방접종의 종류와 시기, 주의사항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리겠습니다.
1. 강아지가 꼭 맞아야 할 예방접종 종류
강아지 예방접종은 기본 접종과 선택 접종으로 나뉩니다. 기본 접종은 대부분의 강아지가 반드시 맞아야 하는 필수 백신입니다.
1 종합백신
홍역, 파보바이러스, 간염, 파라인플루엔자, 코로나 등 여러 바이러스를 한 번에 막아주는 백신입니다. 보통 DHPPL 또는 DHPPi라고 표기합니다.
2 코로나 장염 백신
강아지 장염 중 전염성과 치사율이 높은 장염을 예방하는 백신입니다.
3 켄넬코프 백신
강아지의 감기와 비슷한 전염성 호흡기 질환을 예방합니다. 다견 가정이나 애견호텔 이용 시 꼭 필요합니다.
4 광견병 백신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전염될 수 있는 광견병을 막는 필수 백신입니다. 법적으로도 의무화된 지역이 많습니다.
5 선택 접종
지역에 따라 렙토스피라나 인플루엔자 백신 등을 추가 접종하기도 합니다. 수의사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강아지 예방접종 스케줄
아래는 생후 기준으로 정리한 대표적인 접종 일정표입니다. 병원에 따라 약간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나이 | 접종 종류 |
---|---|
생후 6주 | 1차 종합백신 |
생후 8주 | 2차 종합백신 + 코로나 |
생후 10주 | 3차 종합백신 + 코로나 |
생후 12주 | 4차 종합백신 + 켄넬코프 |
생후 16주 | 광견병 |
접종이 모두 끝난 후에는 1년에 한 번 추가 접종을 통해 면역을 유지해야 합니다. 매년 종합백신과 광견병 백신을 맞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3. 예방접종 전후 주의사항
1 접종 전
강아지가 아프거나 설사를 하는 경우 접종을 미뤄야 합니다. 컨디션이 좋은 날 접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접종 후
접종 후에는 과격한 활동을 피하고, 24시간 정도는 상태를 잘 살펴야 합니다. 드물게 미열, 식욕 저하, 주사 부위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상이 오래 지속되면 병원에 문의해야 합니다.
3 접종 기록 관리
병원에서 받은 접종증을 잘 보관하고, 날짜를 달력에 표시해두면 잊지 않고 맞출 수 있습니다.
4 단비의 예방접종 경험
우리 강아지 단비는 생후 2개월 때 처음 병원에 갔습니다. 처음 맞은 종합백신 때는 겁을 많이 내고 울기도 했지만, 수의사 선생님의 손길에 금방 안정을 찾았습니다. 접종 후 약간 처진 듯했지만 하루 정도 지나니 다시 활발해졌습니다. 접종할 때마다 병원에서 칭찬도 받고 간식도 먹으며 점점 병원에 익숙해졌습니다.
처음에는 단비가 아플까 봐 걱정했지만, 접종을 꾸준히 하면서 건강하게 잘 자라는 모습을 보니 조금 불편하더라도 꼭 필요한 과정이라는 걸 느꼈습니다.
5 예방접종과 사회화 훈련의 관계
예방접종이 모두 끝나기 전까지는 외부 활동을 제한해야 합니다.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 실내에서 간단한 사회화 훈련은 가능합니다.
접종이 끝난 뒤부터는 천천히 외출을 늘리고, 다른 강아지와의 접촉도 시도해보세요. 접종을 마친 후 사회화 시기를 잘 보내면 강아지의 성격 형성에도 도움이 됩니다.
마무리하며
강아지 예방접종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강아지를 처음 데려왔을 때부터 접종 일정을 확인하고 건강한 성장 과정을 함께 만들어가야 합니다.
우리 단비도 예방접종 덕분에 지금까지 큰 병 없이 잘 자라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반려견도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꼭 필요한 백신을 놓치지 말고 챙겨주세요.